경제일반

4월 취업자수 26만명 늘어...'수출 호조'에 제조업 10만명↑


  • 박은선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4-05-17 13:12:53

    60대 늘고 청장년층 감소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폭이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수출 호조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는 10만명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층의 취업자 수가 늘어난 반면 고용시장에서 허리 역할을 하는 청년층과 40대의 취업자 수는 감소했다. 반면 실업자도 8만명 이상 증가하며 3년2개월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 취업자수 증가 폭이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수출 호조 속에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늘었고, 돌봄 수요도 증가한 결과다. 실업자는 8만명 이상 증가하며 3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연합뉴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69만3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6만1000명 증가했다.

    올해 취업자 수 증가폭은 ▷1월 38만명 ▷2월 32만9000명으로 30만명을 웃돌았지만 ▷3월 17만3000명으로 급감한 후 다시 20만명대로 올라왔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과 40대에서 취업자 수가 줄었다. 청년층(15~29세)은 전년 동월 대비 8만9000명, 40대도 9만명이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준 30대는 13만2000명, 50대는 1만6000명, 60세 이상은 29만2000명이 증가했다.

    고령층 일자리가 늘고 청년층 취업이 위축되는 추세는 이어진 셈이다. 다만 인구구조에서 청년층 인구 자체가 줄면서 취업자수도 자연스럽게 감소한 측면도 있다.

    ▲ 4월 고용동향 ©통계청

    15세 이상 고용률은 63.0%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6%로 4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수출 호조 및 반도체 경기 회복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늘었다. 2022년 11월 10만1000명 이후로 1년5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도 9만3000명 늘었다.

    ▲ 4월 고용동향 ©통계청

    반면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6만6천명)과 교육 서비스업(-4만9천명), 도매 및 소매업(-3만9천명)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실업자는 88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만1000명 늘었다. 이는 2021년 2월(20만1000명) 이후 3년 2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또 실업자는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째 증가세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실업률은 3.0%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했다.

    실업자는 60세 이상(전년 동월比 3만9000명↑)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50대(2만6000명↑), 40대(1만1000명↑), 20대(4000명↑) 순이었다. 다만 30대는 실업자가 6000명 줄었다.


    베타뉴스 박은선 기자 (silver@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