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10-08 02:29:44
에너지저장장치 ESS 화재 사건에 LG화학의 특정 배터리에 대한 결함 문제가 불거지고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당 제품에 대한 '리콜'까지 LG화학 측에 비공개 요청한 것으로 확인돼 '비호' 의혹까지 일고있다.
7일 KBS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이 산업통상자원부와 LG화학 측에 요청해 확보한 자료에는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된 전국 ESS 화재 26건 가운데 14건이 LG화학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사용한 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ESS 화재 사건의 절반(53%)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불이 난 ESS에 사용된 LG화학의 배터리는 모두 2017년 하반기 중국 남경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이라는 공통점이 있어, 특정 배터리에 대한 결함 의혹이 나온다.
이 때문에 KBS 취재결과,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당 제품에 대한 리콜(회수지시)까지 LG화학 측에 비공개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ESS 화재 사고원인 조사 결과 발표 당시,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이 발견되었으나, 해당 결함을 모사한 실증시험에서 화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며 선을 그은 바 있다.
산업부는 당시 대책으로 "ESS 화재 원인은 복합적"이라며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었지만, 이후에도 추가 화재 3건이 더 발생했다. 또 3건 가운데 2건이 LG화학의 배터리를 썼고, 결함 의혹이 불거진 17년도 중국 생산 배터리를 쓴 시설이었다.
결함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해당 배터리 교체 작업이 뒤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LG화학의 해당 배터리를 쓴 ESS는 전국에 200곳 정도로 파악되며, 해외 설비까지 포함하면 교체 비용은 1,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LG화학은 특정 배터리의 결함 의혹에 대해 "정부의 ESS 화재 조사에서도 배터리는 ESS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점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 있다"며, "(발표 이후) 최근 발생한 화재는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으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당사는 선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2017년 하반기 남경 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가 적용된 사이트(ESS 설비)에 대해서는 충전율을 70%로 가동 중이며, 손실 비용을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LG화학은 리콜 여부 등을 묻는 질문에는 "해당 배터리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수출됐지만, 해외와 달리 국내에서만 화재가 발생했다"며, "이 때문에 화재원인 분석을 위해 자체적으로 실험에 착수한 상황으로 결과가 나오는 대로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의혹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ESS 화재의 조속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는 소비재가 아니기 때문에 엄밀히는 '리콜' 대상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추가적인 화재를 막기 위해 산업부와 업체가 모두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일부 제품을 교체하거나 회수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타뉴스 조창용 (creator20@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
- 목록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