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2-09-22 12:06:55
한미 금리 한 달만에 재역전...올해말 금리 4.4%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또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서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역전됐다. 이에따라 한국은행은 금리 딜레마에 빠졌고 고환율과 자본 유출 등으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과 인플레이션 악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현지시간으로 21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또 0.75%포인트 인상했다.
가파른 금리 인상에도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자 이례적으로 3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것)에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2.25~2.50%인 미국의 기준금리는 3.00~3.25%로 인상되면서 2008년 1월 이후 14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이번에 단행된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은 지난 13일 8월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8.3%로 나오면서 이미 예고됐었다.
연준은 8월 실업률이 3.7%로 노동시장 펀더멘털이 견조하게 나오자 자이언트 스텝을 결행한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향후에도 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 말 금리 수준을 4.4%로 예상했다. 이는 6월 점도표상의 중간값인 3.4%보다 더 높아진 것이다.
점도표에서는 내년 말 금리 전망치는 4.6%로 6월(3.8%)보다 0.8%포인트 상향됐다.
한편 연준의 이번 조치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을 다시 웃돌게 됐다.
연준이 지난 7월 재차 '자이언트 스텝'에 나선 뒤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약 2년 반 만에 한국(2.25%)을 상회했다. 이후 지난 8월 한국은행의 0.25%포인트 인상 조치로 양국이 같아졌으나 이번에 다시 격차가 0.75%포인트로 벌어지게 됐다.
이에 따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도 올해 남은 10월, 11월 두 차례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모두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역전을 방치할 경우 달러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면서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베타뉴스 박은선 기자 (silver@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
목록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