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2-09-23 10:31:52
국제유가 내리자 공산품 가격 하락
국제 유가 상승세가 꺾이면서 생산자물가가 1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다만 가파른 원·달러 환율 상승세로 소비자물가는 여전히 상승 압력을 받는 상황이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8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12(2015년 수준 100)으로 전월 대비 0.3%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0월(-0.4%) 이후1년 10개월 만에 내림세다.
다만 전년과 비교하면 8.4% 높은 수준으로 21개월 연속 상승세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에서 생산자가 시장에 출하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측정해 지수화한 것이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최근 국제유가가 내리자 공산품 물가지수도 같은 흐름을 나타낸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전월 대비 기준으로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공산품이 1.4% 하락했다. 특히 석탄·석유제품의 하락 폭은 8.6%를 나타냈고, 화학제품과 제1차 금속제품도 각각 2.4%, 1.1% 내렸다.
다만 나머지 부문에선 모두 오름세가 나타났다.
우선 농림수산품은 2.5% 올랐다. 연근해산 어획량이 늘어 수산물(-0.5%)은 내렸지만, 기상 여건이 나빠지며 일부 채소의 출하량이 감소하고 추석을 앞둔 영향 등으로 농산물(3.8%)과 축산물(2.1%)이 올랐기 때문이다.
전력·가스·수도·폐기물은 도시가스를 중심으로 3.6% 상승했다. 서비스지수는 전월보다 0.3% 올랐다. 음식점·숙박(0.9%)과 금융·보험(0.9%) 등이 오른 영향이 컸다.
세부 품목별로는 배추(32.1%), 시금치(31.9%), 돼지고기(7.7%), 참기름(8.9%), 국내항공여객(11.4%), 금융 및 보험 위탁매매 수수료(4.4%) 등이 올랐다. 물오징어(-13.4%), 경유(-8.2%), 벤젠(-14.1%), 휴대용전화기(-3.3%), 항공화물(-3.1%) 등은 내림세였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27.39로 전월 대비 1.0% 하락했다. 원재료(-5.8%), 중간재(-0.7%), 최종재(-0.1%)가 모두 내린 영향이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에 수입품까지 포함해 국내시장에 공급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의미한다.
국내 출하와 수출을 포함한 8월 총산출물가지수도 전월보다 0.6%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공산품을 중심으로 10.0% 올랐다.
베타뉴스 박은선 기자 (silver@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
목록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