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대차·르노삼성·쌍용차 자율주행 후발주자, 이것을 주의하라


  • 김혜경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7-11-02 15:05:28

    "자율주행 제도 구축 완료한 쪽이 시장 선점할 것"

    [베타뉴스/경제=김혜경기자] ‘4차 산업혁명’이 하루가 멀다하고 매스컴을 오르내리는 시대. 좋든 싫든 패러다임 전환은 성큼 우리 눈 앞에 다가와 있다. 세계 유수의 기업들은 시대를 주도할 기술 선점에 사활을 걸고 있다. 조지프 슘페터가 말한 ‘창조적 파괴’를 잘 이행한 기업은 시장의 주도권을 잡을 것이고, 그렇지 못한 기업은 현재 시장을 재패 중인 글로벌 공룡이라도 도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동차는 ‘탈 것’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 국가의 경제수준, 에너지 플랫폼, 당대의 산업 기술 등을 엿볼 수 있는 지표다. 현재 미래기술을 둘러싸고 가장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곳은 단연코 자동차업계다.

    전기·수소 등 친환경차, 커넥티드차 개발과 함께 인간의 개입없이 스스로 작동하는 꿈의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각 업체들은 사활을 거는 중이다. 국내에서는 현대·기아차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 가운데 다른 업체들도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SF영화에서만 등장할 것 같았던 기술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자율주행 기술은 일반적으로 레벨0~4까지 총 다섯 단계로 나뉘지만 레벨1~5까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후자를 적용했을 때 현재 기술로 구현 가능한 단계는 레벨3, 정확히는 2.5 레벨 정도에 있는 부분자율주행이다. 현재 유수의 자동차기업들이 자율주행 기술을 홍보할 때 레벨 3이라고 언급하는 단계다.

    이는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떼고 약 10초 정도 안전 주행이 가능한 수준. 10초 이후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운전대를 잡고 수동으로 조작해야 한다. 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단계다.

    레벨4는 운전자가 특정 상황에서만 운전대를 조작하면 되는 수준이다. 인공지능이 판단하기 어려운 비보호 좌회전 등 특정 상황에서만 운전대에 손을 올리면 된다. 마지막 단계인 레벨5는 인공지능이 운전자를 대신해 조작하는 완전 자율주행차다. 대부분의 상황을 인공지능이 판단해 운전자는 도로 상황에 집중하지 않고 다른 일들을 할 수 있게 된다.

    전 세계 자동차업계는 부분 자율주행기술의 상용화를 오는 2020년으로, 완전 자율주행을 2025년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국내 완성차업체 중 자율주행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곳은 현대자동차그룹이다. 현대모비스 등 핵심 계열사를 연계해 수년 전부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왔다. 오너인 정지선 부회장도 4차 산업혁명 관련 포럼에 참석하며 열공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자율주행 부문에서 글로벌 기조에 발맞춰 2020년까지 고도 자율주행차, 2030년에는 완전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고속도로주행지원시스템(HDA)를 비롯한 3단계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적용하고 있다.

    이스라엘 유망 스타트업들과 미래 모빌리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미국의 미래차 연구기관 ACM 창립 멤버로 테스트 베드 건립 투자를 하는 등 전 세계를 가로지르며 동분서주하는 중이다.

    최근 내수시장에서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는 쌍용자동차도 지난달 16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아 이달부터 일반도로에서 시험 주행을 시작했다. 허가를 받은 티볼리 에어 모델에는 레벨3 수준의 기능이 탑재됐다. 쌍용차는 지난 2014년부터 자동차부품연구원과 자율주행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하는 등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도 SM6와 QM6 등에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자율주행 기술 탑재를 진행 중에 있으며, 한국GM도 미국 모기업 GM과의 제휴를 통해 말리부 등에 관련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열띤 투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율주행기술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자율주행 3단계라고 홍보되지만 실질적으로 주행보조 기능 탑재 정도로 머물고 있다.

    또 기술이 발전해도 제도가 받쳐주지 못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도태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국가별 자율주행 제도가 다른데 이같은 제도를 정비해 먼저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쪽이 미래차 기득권을 선점한다는 것이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국가기관에서 자율주행 관련 규정을 확실하게 정해야 하는데 현재 정부 인프라에 전문가 집단이 없기 때문에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자율주행모드 중 사고가 났을 때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제도적인 부분을 정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재 대부분 업체들은 연구소 안에서만 테스트를 하면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 필드에서 발생하는 상황과는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면서 "자율주행혁신도시 등을 구축해 일반적인 로드 상황에서 자유롭게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베타뉴스 김혜경 (hkmind9000@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760344?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