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포항참사 주범 지열발전, 2014년 광주서도 추진하다 중단…지진 가능성 탓


  • 이동희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9-03-22 11:00:07

    ▲20일, 대한지질학회는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은 인근 지열발전소가 촉발했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이날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포항지열발전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친환경에너지로 기대를 모았던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촉발한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지열발전 사업을 추진하던 광주광역시가 ‘지진 가능성’을 이유로 사업을 중단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왜 포항에서만 지열발전 사업이 견제없이 진행됐느냐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2013년 국책연구기관이 작성한 보고서에도 지열발전 사업 때문에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담긴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지열발전 학계 등에 따르면 광주시는 2014년도 광주 제1하수처리장 부지에 3.5MW급 지열발전소 건설을 추진했지만 ‘실증사업’ 단계에서 이를 중단했다. 실증사업 단계는 경제성과 안전성 등, 사업의 개진 가능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지열발전 사업 중단 이유는 ‘인근 상록지구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광주시가 추진한 지열발전 사업 방식은 ‘인공 저류층 생성기술(EGS)’을 통한 지열발전이었다. 포항에 넥스지오가 건설했던 지열발전소와 동일한 방식이다. 땅속에 시추공을 2개 뚫어 물을 주입하고 이후 발생하는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원리다.

    광주광역시 측은 하수처리장에 깊이 3.5km 깊이의 시추공을 뚫었지만, 두번째 시추공을 뚫을 장소 물색을 고심했다. 광주 마륵동 종축장 자리가 두번째 시추공 자리로 계획됐지만, 전문가들은 “인근 상록지구에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결국 사업은 무산됐다.

    광주광역시 관계자는 “전문가들이 시추공에 물을 집어넣으면 진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면서 “이에 따른 주민들에 대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는데, 그런 부분에서 협의가 안된 상황이라 사업을 중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3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작성한 보고서에서도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 내용이 담겼다. KISTI가 작성한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신인 미래창조과학부에 제출됐다.

    정부조사연구단이 2017년 포항에서 발생한 진도 5.8의 지진을 ‘지열발전소의 발전과정에서 생긴 문제’로 결론을 내린 상황에서, 사전에 감지됐던 우려들을 참고하지 않은 점에 아쉬움이 남는 상황이다.

    포항 지열발전소에서 물주입이 시작된 것은 2016년 1월께다. 정부조사연구단에 따르면 물주입이 시작된 2016년 1월부터 2017년 11월 포항지진 직전까지 포항에서는 96회의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했다. 조사단은 지열발전소의 물주입 시기와 포항의 지진 발생 시점 사이에 유기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포항에 지열발전소가 설립된 이유를 놓고서도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2012년도 지역발전소 설립 당시 이명박 정부는 포항 지역의 지열 온도가 높다는 점을 부지 선정 이유로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향이 포항 흥해읍이라는 점을 들어 선정과정이 부적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베타뉴스 이동희 기자 (press@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989066?rebuild=on